조선시대 일본의 대외 교섭 또는 탐라 제주의 문화인류학
최고관리자
2024-01-10 10:32
1,044
0
본문
조선시대 일본의 대외 교섭
도서명 : 조선시대 일본의 대외 교섭
저자/출판사 : 민덕기, 경인문화사
쪽수 : 293쪽
출판일 : 2010-06-14
ISBN : 9788949906508
정가 : 22000
책을 내면서
일러두기
제1장 중세 일본의 대명 책봉관계의 성립과 변화
제2장 중세 일본의 대명 조공 중재요청과 조선의 대응
제3장 중세 일본의 영파의 난 수습 노력과 조선·일본·류구·명 관계
제4장 근세 일본의 조선과 류구 통한 중국 접근
제5장 근세 일본의 류구사절과 조선사절
제6장 근세 일본 유학자들의 조선 인식
제7장 중·근세 일본의 '국왕' 칭호
제8장 표류만을 통한 조선·일본·유구 사이의 정보교류
탐라 제주의 문화인류학
도서명 : 탐라 제주의 문화인류학
저자/출판사 : 전경수, 민속원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0-06-06
ISBN : 9788956389615
정가 : 15000
왜, “탐라 · 제주”인가?
제1부 탐라학 서설
탐라 신화의 고금학과 모성중심사회의 신화적 특성
: ‘설문대할망’과 ‘삼신인三神人’을 중심으로
1. 시작하기 :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
2. 탐라의 ‘선화仙話’들
3. 끝내면서 : 설문대할망은 탐라의 ‘혼불’
‘선주호先州胡’에서 탐라국耽羅國까지
: 실패한 고대국가古代國家와 조공朝貢의 문제
1. 가상 종족 ‘선주호先州胡’와 오수전五銖錢 교역로
2. 실재實在 종족種族 주호州胡와 곽지문화郭支文化
3. 조공환朝貢環의 주변부에서 : 小國으로서의 耽羅國
4. 탐라국의 국제정치학國際政治學 : 실패한 고대국가
5. 탐라국 주인공들의 생활상 : 民俗考古學의 가능성
6. 결어와 과제
소위 “벽랑국碧浪國”의 성격에 대하여
1. 서언
2. 신화적 실재로서의 벽랑국
3. 역사적 실재로서의 벽랑도
4. 결어
제2부 제주학 서설
제주학濟州學
: 왜, 어떻게 할 것인가?
1. “島 硏究”에서 “學”으로
2. 왜, 濟州學인가?
3. 濟州學, 어떻게 할 것인가?
4. 결어 : 濟州學, 무엇인가?
통합과학 시행 모델로서의 제주학과 실천방안
1. 패러다임의 전환
2. 실천의 과거와 미래
3. 무엇이 가능하고, 어떻게 해야 하나
지역연구로서 제주학의 방법과 전망_146
1. 서언 : 地域硏究로서의 제주학
2. “넓히면 산다” : 廣域化의 구도
3. “밝히면 산다” : 情報化의 실천
4. “뭉치면 산다” : 統合科學의 지향
5. “사람을 생각하면 산다” : 住民中心의 정신
6. 결어 : 濟州를 위한 濟州學
제주민속론濟州民俗論 서설序說
1. 서序
2. 문화체계론文化體系論
3. 인간매개의 특성
4. 제주민속의 평등사상
5. 결어 : 제주민속의 재창조를 위하여
민속으로서의 제주 장수와 성장동력으로서의 ‘장수산업長壽産業’
: 實踐人類學의 사례
1. 문제제기1) : 제주도의 地政學
2. 문제제기2) : 제주도 산업화의 미래
3. 희망적 대안의 시나리오 : 長壽≒民俗
4. ‘長壽産業’ : 고령사회의 성장 동력
5. 결론 : 떳떳하게 사는 방식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