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육의 교과교육학적 탐구 또는 제3의 자본
![profile_image](https://www.feedpost.co.kr/data/member_image/ad/admin.gif?1701586282)
최고관리자
2023-12-29 16:19
845
0
본문
도덕교육의 교과교육학적 탐구
![9788955567359.jpg](https://image.kdgmall.xyz/book_image_2022/9788955567359.jpg)
도서명 : 도덕교육의 교과교육학적 탐구
저자/출판사 : 강두호, 역락
쪽수 : 549쪽
출판일 : 2009-11-30
ISBN : 9788955567359
정가 : 34000
제1부 도덕교육의 교육과정과 방향
제1장 윤리 연구의 회고와 성찰│17
제2장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 설정의 원칙│43
제3장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인간상의 존재론적 특징│53
제4장 도덕과 중학교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초│83
제5장 리코나 도덕 이론의 인격 교육적 의의│107
제6장 양성 평등의 도덕교육적 함의│133
제7장 도시 사회의 인간화를 위한 도덕과 교육의 방향│159
제2부 도덕교육의 내용 주제별 실제
제1장 도덕 교과서에서 강조된 연대성 원리의 형태│185
제2장 도덕과 내용 구성에서의 생명존중사상과 환경윤리│211
제3장 가상적 실재 행위에 대한 규제의 도덕교육적 근거│239
제4장 도덕과 교육에서 강조되는 가정 윤리의 특성│263
제5장 사회애의 규범적 특징과 도덕 교과에서의 실제│287
제6장 국가애 교육의 준거와 도덕 교과에서의 실제│313
제7장 도덕과에 표출된 종교윤리의 실상과 과제│337
제3부 도덕교육의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제1장 가치 내면화 교수 방안│363
제2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 의거한 도덕과 수업 지도 방안│397
제3장 도덕성 발달론에 입각한 도덕과 수업 방법의 개선│423
제4장 배려 윤리의 도덕 수업에의 적용│443
제5장 도덕 교과서 ‘함께 하기’의 효율화 방안│467
제6장 도덕과 서술 평가의 원리와 실제│495
제7장 도덕과 수업 능력의 평가│523
제3의 자본
![9788976334046.jpg](https://image.kdgmall.xyz/book_image_2022/9788976334046.jpg)
도서명 : 제3의 자본
저자/출판사 : 이동원,정갑영,박준,채승병,한준, 삼성경제연구소
쪽수 : 280쪽
출판일 : 2009-11-25
ISBN : 9788976334046
정가 : 13000
책을 내며
Introduction 제3의 자본과 선진화의 조건
제Ⅰ부 사회적 자본
1.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1.1. 신뢰와 사회적 자본
1.2. 사회적 자본의 이중적 특성 : 관계적 자본과 시스템 자본
2.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2.1. 사회적 상호 작용과 공적 제도
2.2. 사회적 자본의 정책적 육성
3. 사회적 자본의 경제ㆍ사회적 효과
3.1. 사회적 자본의 경제적 효과
3.2.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
3.3. 사회적 자본과 기업 조직
3.4.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제Ⅱ부 신뢰가 부족한 한국 사회
4. 공적 제도는 사회적 자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4.1. 한국 사회의 낮은 신뢰 수준
4.2. 공적 제도 붕괴와 불신의 악순환
5. 갈등사회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모순
5.1. 한국 사회의 갈등과 분열
5.2. 사회 분열로 사라지는 긍정적 네트워크 효과
제Ⅲ부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정책과제
6. 사회적 자본,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6.1.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다양한 변수
6.2. 기존 연구의 한계와 포괄적 측정의 필요성
7. 사회적 자본 지수의 개발
7.1. 사회적 자본의 태도적 측면 : 신뢰와 사회규범
7.2. 사회적 자본의 인프라적인 측면 : 네트워크와 사회구조
8. 세계 사회적 자본 지수
8.1. 각국의 사회적 자본 지수 순위
8.2. 사회적 자본 지수와 주요 사회?경제적 지표
9.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7대 과제
9.1. 한국의 사회적 신뢰가 낮은 이유
9.2.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
참고문헌
부록 A. 신뢰의 형성 요인에 대한 분석
부록 B. 사회적 자본 지수의 분석 방법과 결과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