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미 어린이 미디어 설교 또는 고려 조선의 친족용어와 혈연의식
![profile_image](https://www.feedpost.co.kr/data/member_image/ad/admin.gif?1701586282)
최고관리자
2023-12-29 16:19
840
0
본문
별미 어린이 미디어 설교
![9788935012626.jpg](https://image.kdgmall.xyz/book_image_2022/9788935012626.jpg)
도서명 : 별미 어린이 미디어 설교
저자/출판사 : 교회학교팀, 요단출판사
쪽수 : 130쪽
출판일 : 2009-12-23
ISBN : 9788935012626
정가 : 12000
1 성경
2 선교
3 절기
4 생활 문화
고려 조선의 친족용어와 혈연의식
![9788976681621.jpg](https://image.kdgmall.xyz/book_image_2022/9788976681621.jpg)
도서명 : 고려 조선의 친족용어와 혈연의식
저자/출판사 : 이종서, 신구문화사
쪽수 : 311쪽
출판일 : 2009-10-20
ISBN : 9788976681621
정가 : 18000
머리말
제1장. 서론
1. 가족 친족 연구의 성과와 ㄹ반성
1) 정체성론과 정체성론 비판
2) 실증적 연구와 통념의 극복
2. 문제의식과 연구방법
제2장. 친족지칭과 친족관계
1. '전통적' 친족지칭과 문자체계
1) '전통적' 친족지칭의 종류와 기능
2) 문자체계별 친족지칭
2. 고려 조선전기와 조선후기의 친족지칭
1) 분석대상 자료
2) 법률서의 친족지칭
3) 이두문서의 친족지칭
4) 사서(史書)와 양반층 일기의 친족지칭
5) 한글 대역(對譯) 외국어 회화서의 친족지칭
3. 고려 조선전기의 친족지칭원리와 친족관계
1) 친족지칭원리
2) 지칭원리에 반영된 친족관계
제3장. 고려 조선전기의 혈연을 범주화하는 친족용어
1. '촌(寸)'을 이용한 지칭방식
2. 중국 친족지칭의 변용(變用)과 직계의식
3. '족(族)'의 의미와 구조
1) '족장(族長)'과 '족하(族下)'
2) '본족(本族)'의 구조
4. '동성(同姓)', '이성(異姓)'의 기능과 그 한계
제4장. 조선후기 혈연의식 변동의 동인과 과정
1. '동기(同氣)' 이론의 확산과 이해
1) 중국의 '동기' 이론과 부계질서의 강조
2) 고려 조선전기 '동기' 이론의 수용과 한계
3) 조선후기 '동기' 이론의 이해와 부계의식 강화
2. 조선전기의 장지(葬地)와 조선후기의 '족장지(族葬地)'
1) 장지 연구의 의의
2) 조선전기 양반가의 장지
3) 조선후기 '족장(族葬)'의 강조와 '족장지'의 형성
3. '전통적' 계모관(繼母觀)의 형성 과정
1) 조선후기의 '어머니'와 '계모'
2) 고려 조선전기의 재혼관행과 계모의 위상
3) 조선전기 전처 자녀와 계모의 갈등
4) 『장화홍련전』반영된 '전통적' 계모관의 형성 과정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