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전문학의 방법론적 탐색과 소묘 또는 시간 여행자의 아내. 2
최고관리자
2023-12-29 16:19
954
0
본문
한국 고전문학의 방법론적 탐색과 소묘
도서명 : 한국 고전문학의 방법론적 탐색과 소묘
저자/출판사 : 서철원, 역락
쪽수 : 454쪽
출판일 : 2009-10-22
ISBN : 9788955567366
정가 : 28000
1.신라 향가의 시학과 문학사상
삼국유사 향가에서 수용의 문맥과 서정주체
1. 향가 텍스트에서 발신자와 수신자의 역할
2. 삼국유사의 향가에서 수용의 문맥
3. 효용성과 서정성의 조화와 서정주체의 본질
4. ‘서정주체’ 개념의 재정립을 위하여
신라 향가의 ‘소멸’ 모티프와 죽음 인식
1. 신라 문화에서 죽음 인식의 중요성
2. 신라 향가의 ‘소멸’ 모티프
3. 당대의 죽음 인식과 향가 작품세계
4. ‘소멸’ 모티프의 문화사적 의의
종교시로서 신라 향가와 T. S. 엘리엇 엮어읽기
1. 방법론의 근거
2. 종교적 문제상황의 발생
-『모죽지랑가』와 『J. A. 프루프록의 연가』
3. 종교적 공간과 시간의 중첩
-『찬기파랑가』와 『성회수요일』
4. 피안의 상징을 향한 움직임
-『제망매가』와 『머리나(Marina)』
5. 종교시로서 신라 향가의 세계문학사에서의 위치
신라 문학사상의 전개와 고전시가사의 관련 양상
1. 대상 자료와 연구의 범위
2. 의상의 문학관과 화엄일승의 시어
3. 원효의 언어인식과 화쟁의 수사
4. 최치원의 사상적 모색과 풍류의 작용
5. 고전시가사와의 관련 양상
6. ‘신라문학사상사’와 ‘신라서정문학사’를 위하여
2 신라와 고려의 지속과 전변
균여의 작가의식과 『보현시원가』
1. 연구동향과 방법론적 전제
2. 균여전을 통해 본 균여의 생애
3. 균여의 작가 의식
4. 『보현시원가』의 작품세계와 융회적 사유체계
5. 정치와 구도 사이의 기로와 균여의 선택
『항순중생가』의 방편시학과 『보현시원가』의 배경
1. 『항순중생가』에 주목하는 근거
2. 『항순중생가』의 방편시학
3. 『보현시원가』의 배경
4. 작품성과 대중성의 공존근거로서 방편시학
향가와 고려속요의 장르적 차이를 통해 본 전변 양상의 단서
1. 향가와 속요의 장르적 차이
2. 향가의 어조와 이미지 구성 방식-‘연속’과 ‘대칭’
3. 고려속요의 어조와 이미지 구성 방식-‘반복’과 ‘굴곡’
4. 향가에서 고려속요로의 전변 양상 규명을 위한 단서
5. 시가사의 변모 과정에 대한 추론
향가에서 속요로, 두 가지 서정성의 대칭과 융회
1. 향가와 속요가 갖춘 서정성의 결들
2. 향가와 속요의 형식적 차이
3. 향가와 속요의 시간의식
4. 향가와 속요의 인물 형상
5. 향가와 속요 텍스트의 질적 차이
3 속요와 시조의 전통과 전승
백제 문화권의 『정읍사』와 고려속요의 기원
1. ‘백제’의 문화사적 비원(悲願)
2. 백제 문화권의 『정읍사』
3. 『정읍사』와 고려속요의 기원
4. 백제문학사의 재구성과 복원을 위하여
고려속요의 어조를 통해 본 장르 관습의 양상
1. ‘장르 관습’이라는 개념 범주의 필요성
2. 단련체 고려속요의 어조와 장르 관습
3. 분련체 고려속요의 어조와 장르 관습
4. 속요의 어조상 굴곡이 지니는 의미
교주 가곡집을 통해 본 20세기의 고시조 향유와 전승 양상
1. 가집 자료 집성과 ‘가집사’의 문제
2. 교주 가곡집의 편찬자와 편찬 방식
3. 편찬 과정에서 드러난 향유와 전승의 요소
4. 20세기의 고시조 문헌 편찬 과정에서 교주 가곡집의 위치
4 고대 서사문학의 문면과 문맥
『광개토왕릉비문』의 수사방식과 세계인식
1. 역사의 윤색과 문학적 형상화
2. 『광개토왕릉비문』과 작자의 수사방식
3. 『광개토왕릉비문』과 수용자의 세계관
4. ‘위서(僞書)’를 위한 변명
대가야 건국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백제 건국신화의 인물 형상과 그 의미
1. 백제의 국가기원에 대한 두 가지 시각
2. 건국신화 자료의 개관
3. 인물 형상을 중심으로 한 두 건국신화의 비교
4. 백제 신화의 재구성을 위한 구도
『서동요』 전승의 형성과 사상적 배경
1. 서동의 정체
2. 『서동요』 전승의 형성과정
3. 『서동요』 전승의 사상적 배경
4. ‘사실(史實)’의 연대기적 재구성
진표 전기의 설화적 화소와 ‘성자’ 형상
1. 진표(眞表)의 입전 과정과 ‘성자’화
2. 진표 전기의 설화적 화소
3. 설화적 화소의 유형과 ‘성자’ 형상
4. ‘성자’ 형상에의 탐색을 위하여
참고문헌
수록 논문 발표지 및 출간시기 일람
시간 여행자의 아내. 2
도서명 : 시간 여행자의 아내. 2
저자/출판사 : 오드리,니페네거, 살림
쪽수 : 384쪽
출판일 : 2009-08-17
ISBN : 9788952212306
정가 : 9000
제2부_우유 그릇에 떨어진 피 한 방울
결혼생활
도서관의 과학 소설
아주 작은 신발
하나
둘
간주곡
새해 전야, 하나
셋
넷
다섯
여섯
아기 꿈
일곱
앨바와의 첫 만남
생일
비밀
기술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다
죽은 자연
생일
비밀
먼로 가 주차장에서 생긴 일
생일
불쾌한 장면
먼로 가 주차장에서 생긴 일
시간의 조각들
발 꿈
돌고 도는 세상
며칠이 아니면 몇 시간이라도
새해 전야, 둘
제3부 _ 그리움에 대한 보고서
언제까지나
사멸
현존재
회복
언제나 다시 한 번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