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색과 소리 또는 허영만 꼴. 8: 음탕한 여자는 있어도 음탕한 남자는 없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형색과 소리 또는 허영만 꼴. 8: 음탕한 여자는 있어도 음탕한 남자는 없다

profile_image
최고관리자
2023-12-29 16:19 1,117 0

본문




형색과 소리
9788926804094.jpg


도서명 : 형색과 소리
저자/출판사 : 김득룡, 한국학술정보
쪽수 : 447쪽
출판일 : 2009-09-28
ISBN : 9788926804094
정가 : 29000

제Ⅰ부 실재와 청각성

제1장 불발의 청각적 통찰
1. 머리말: 소리의 도취성과 상호주관성
2. 니체의 통찰
3.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경우
4.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5. 맺는말

제2장 형색形色과 소리
1. 머리말
2. 형색과 소리 그리고 두 문화
3. 정신의 ‘양원兩院 구조’
4. 청각 시대의 소멸
5. 형색의 시대
6. 맺는말: 언어에 있어서의 시각과 청각

제3장 상호주관성의 청각적 근원
1. 현대사회와 상호주관성의 실종
2. ‘나’와 ‘우리’: 개체형성의 사회적 조건
3. 폴리스에서 기술관료 사회까지
4. 간주관적 영역의 청각적 근원: 한 현상학적-해석학적 접근

제4장 제인스와 베르그송: 공간성을 넘어서, 그리고 양원성을 넘어서
1. 문제제기: 왜 베르그송과 제인스인가?
2. 공간적 사유와 언어
3. 제인스의 ‘양원적 정신체계’
4. 양원적 정신체계와 베르그송의 정태적 종교 그리고 동태적 종교

제Ⅱ부 상호주관성의 형이상학: 하버마스를 넘어서

제5장 하버마스: 권위냐 의사소통이냐?
1. 머리말
2. 제도적 권위
3. 인격적 권위
4. 맺음말

제6장 하버마스 대 리오타르와 발터 벤야민: 세 언어이론들
1. 머리말
2. ‘언어게임’에 대하여: 리오타르와 하버마스
3. 하버마스가 말하는 ‘합리성’
4. 리오타르의 ‘숭고(the sublime)’와 하버마스
5. 발터 벤야민의 번역이론
6. 맺는말: 하버마스의 선택은?

제7장 탈형이상학?
1. 머리말
2. 사회화를 통한 개체형성: 미드와 하버마스
3-1. 개체형성의 사적私的 계기: 자아의 사적 영역
3-2. 사적 영역과 형이상학
3-3. 하버마스의 탈형이상학의 문제점

제8장 맺는말: ‘제3의 사적 영역’과 상호주관적 세계
1. 다양한 개념의 간주관적 영역과 사적 영역
2. ‘제3의 사적 영역’의 가능성을 찾아서: 미드와 아렌트의 개념화
3. ‘제3의 사적 영역’의 구조와 에브너의 ‘나(das Ich)’

부 록

색 인




허영만 꼴. 8: 음탕한 여자는 있어도 음탕한 남자는 없다
9788960862517.jpg


도서명 : 허영만 꼴. 8: 음탕한 여자는 있어도 음탕한 남자는 없다
저자/출판사 : 허영만, 위즈덤하우스
쪽수 : 260쪽
출판일 : 2010-03-31
ISBN : 9788960862517
정가 : 9800

귀는 건강을 본다 | 귀와 눈썹은 모자간 | 쪽박귀 | 짝귀 | 목소리와 섹스는 귀와 통한다 | 지혜의 결정판 | 손오공 | 부자 귀, 안 부자 귀 | 격은 눈으로 본다 | 토끼귀 |귀에는 정보가 많다 | 꼴 보기가 어렵다 | 귀의 형태 | 돼지귀 | 뒤집힌 귀 | 버새는 곤란해 | 귀를 관리하라 | 음탕한 여성 72 | 거칠게 사는 여자 팔자 36 | 복 없는 여성 24 | 현명하고 복 많은 여성 7 | 음탕한 남성은 없다 | 토정을 삼가라 | 계속 들어봐 | 달마꼴법 | 눈빛을 보는 7가지 방법 | 맑음과 밝음 | 눈은 빛과 모양을 같이 본다 | 군자는 평생의 근심은 있지만 하루아침의 걱정은 없다 | 터럭만 한 차이가 천 리 차이 난다 | 인간의 점수 | 잘되면 내 탓 못되면 조상 탓 | 친구, 부인, 사업가 만드는 법 | 꼴을 따지지 말라 | 큰 인물은 주변에 덕을 베푼다 | 좋은 동반자는 좋은 씨앗 | 황석공소서(黃石公素書) | 복 없는 남자 49 | 다섯 곳이 노출되면 | 생긴 대로 살아간다 | 내 안에 천(賤) 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