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로 감 잡는 추리 기억 필수 영단어. 1 또는 십팔사략(6/7)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고사성어로 감 잡는 추리 기억 필수 영단어. 1 또는 십팔사략(6/7)

profile_image
최고관리자
2023-12-29 16:19 1,148 0

본문




고사성어로 감 잡는 추리 기억 필수 영단어. 1
9788991945258.jpg


도서명 : 고사성어로 감 잡는 추리 기억 필수 영단어. 1
저자/출판사 : 진형진, 북카라반
쪽수 : 240쪽
출판일 : 2010-03-23
ISBN : 9788991945258
정가 : 10000

머리말
《고사성어로 감 잡는 추리기억 필수 영단어》 활용법
발음기호표와 영단어 발음하기

1. A very stupid person or ridiculous behavior각주구검
2. An authentic friend간담상조
3. A reborn good person from a past bad man개과천선
4. Not knowing someone's value until his or her death개관사시정
5. A desperate fight at the risk of someone's life건곤일척
6. Repayment of a kindness even after someone's death결초보은
7. A trivial but useful talent계명구도
8. King's trusty follower고굉지신
9. Enjoying a reign of peace고복격양
10. A relaxed life without anxiety고침안면
11. A flattering attitude against the doctrine곡학아세
12. An extremely close friendship관포지교
13. Being astonished at someone else's progress괄목상대
14. A stubborn person or behavior without the flexibility교주교슬
15. Eliminating someone after using all of his or her ability교토사양구팽
16. Outward flattering and inward having hostility to a person구밀복검
17. A small and trivial matter구우일모
18. A noble man's three happiness in life군자삼락
19. Making another attempt for an achievement with renewed energies권토중래
20. Having to continue doing something in order not to fail기호지세
21. A person or goods that could be a great man or valuable treasure in the future기화가거
22. A best selling book낙양지가귀
23. Comfortable life without difficulty난의포식
24. Vain wealth and honor남가일몽
25. The origin of everything남상
26. Competence shows itself낭중지추
27. Everyone or everything in the world has an advantage of his or her or its own노마지지
28. Parents' rigid lesson for studying without quitting단기지교
29. Reckless behavior without hard thinking당랑거철
30. Enjoying of happy life in the reign of peace도불습유
31. Repeating makes a hidden truth emerge독서백편의자현
32. Having deaf ears to somebody else's advice마이동풍
33. Regret at the past prosperity맥수지탄
34. A personal bias based not on a wide view but on a narrow view맹인모상
35. Very intimate friendship문경지교
36. A person faithful but stupid enough to kill himself or herself for keeping a promise미생지신
37. A desperate fight at the risk of someone's life배수지진
38. Needless anxiety about trifling matter배중사영
39. Mourning over the death of one's closest friend백아절현
40. The tyrannical behavior to the people분서갱유
41. Thinking of all the people in the world as one's brotherhood사해형제
42. Making every effort to recruit a person of talent삼고초려
43. The ups and downs of the worldly affairs새옹지마
44. No need for worrying about life and death생기사귀
45. Useless sympathy or stupid behavior송양지인

말풍선 풀이
찾아보기




십팔사략(6/7)
9788949705705.jpg


도서명 : 십팔사략(6/7)
저자/출판사 : 증선지, 동서문화사
쪽수 : 369쪽
출판일 : 2009-12-12
ISBN : 9788949705705
정가 : 13000

(十七) 五代
(가) 梁(後梁)
1. 太祖皇帝
878 태조황제太祖皇帝
(1) 네 따위가 천자라고?
(2) 각지의 할거
879 마은馬殷을 초왕楚王에
880 촉주蜀主 왕건王建
881 이극용李克用
(1) 아무도 도와주지 않아
(2) 이극용李克用이 약해지다
(3) 나를 어리다 얕보리라
882 회남淮南의 혼란
883 민왕
884 연왕燕王
885 하주夏州의 난
886 광주廣州의 유은劉隱
887 연제燕帝
888 주전충朱全忠이 죽다
(1) 진왕晉王 이존욱과의 싸움
(2) 내 죽어 묻힐 땅도 없겠구나

2. 均王
889 균왕均王
890 연燕이 망하다
891 고계창高季昌
892 거란契丹 아보기阿保機가 칭제하다
893 월왕越王이 국호를 한漢으로 고치다
894 서온徐溫
895 촉왕蜀王
896 오왕吳王
897 오월국왕吳越國王
898 진晉나라와 양梁나라
(1)진晉과 양梁의 싸움
(2) 후당後唐이 서다
(3) 양後梁의 멸망

(나) 唐(後唐)
1. 莊宗皇帝
899 장종황제莊宗皇帝
(1) 개돼지만도 못한 아들들
(2) 본래 당唐을 복원하려던 것이었는데
900 남평왕南平王
901 촉蜀을 멸하다
902 맹지상孟知祥
903 장종莊宗의 최후
(1) 이천하李天下야, 이천하야
(2) 충절을 지키면 도리어 죽으리라
(3) 더 이상 어쩔 수 없구나
(4) 이사원李嗣源이 황제가 되다

2. 明宗皇帝
904 명종황제明宗皇帝
905 거란契丹 아보기阿保機가 죽다
906 민왕 왕심지王審知
907 오왕吳王 양부楊溥
908 남평왕南平王 고계高季
909 초왕楚王 마은馬殷
910 오월왕吳越王 전류錢?
911 하주夏主 이인복李仁福
912 촉왕蜀王 맹지상孟知祥
913 명종明宗의 인물됨
(1) 어서 성인聖人을 내려 저를 대신하게 해 주소서
(2) 그나마 소강小康을 이루었다

3. 閔帝
914 민제閔帝
915 맹지상孟知祥이 황제를 일컫다
916 노왕潞王이 서다

4. 潞王
917 노왕潞王
918 맹지상孟知祥이 죽다
919 이이초李彛超가 죽다
920 민의 이계붕王繼鵬
921 노왕潞王이 분신하여 죽다

(다) 晉(後晉)
1. 高祖皇帝
922 고조황제高祖皇帝
(1) 모반하려 하느냐?
(2) 승리하면 땅을 떼어 주겠다
(3) 거란契丹이 나라를 세워주다
923 오吳의 서지고徐知誥가 칭제하여 남당南唐을 세우다
924 거란契丹의 국호 대료大遼
925 민의 왕희王曦
926 오월왕吳越王 전원관錢元瓘
927 남한南漢의 유공劉?
928 진주晉主가 죽다

2. 出帝
929 출제出帝
930 남당南唐의 이변
931 은제殷帝
932 남한南漢의 유성劉晟
933 민의 주문진朱文進
934 거란과의 싸움
(1) 할아버지와 싸워보자
(2) 거란契丹의 침입
(3) 타초곡打草穀

(라) 漢(後漢)
1. 高祖皇帝
935 고조황제高祖皇帝
(1) 스스로 호랑이 입으로 뛰어들 수야
(2) 후한後漢을 세우다
936 제파
937 초왕楚王 마희범馬希範
938 오월왕吳越王 전홍좌錢弘佐
939 한주漢主가 죽다

2. 隱帝
940 은제隱帝
941 조정의 명령을 거부하다
942 형남荊南 고종회高從誨
943 하중河中의 이수정李守貞
944 곽위郭威
945 초왕楚王 마희악
946 한後漢의 멸망
(1) 어찌 모추자毛錐子를 쓰랴
(2) 깃발을 찢어 몸을 감싸다

(마) 周(後周)
1. 太祖皇帝
947 태조황제太祖皇帝
(1) 혼인 상대
(2) 국호를 주(周, 後周)로 정하다
948 거란의 내분
949 초楚가 망하다
950 초의 장군 유언劉言
951 주왕周王이 죽다

2. 世宗皇帝
952 세종황제世宗皇帝
(1) 산으로 달걀을 누르는 것 같다
(2) 나를 팔아넘기려는 짓
953 북한北漢을 공략하다
954 북한北漢의 유민劉旻이 죽다
955 촉蜀을 벌하다
956 후주後周와 남당南唐
(1) 가죽 투구에 칼의 흔적이 있는 자
(2) 남당이 주周를 섬기다
957 낭주朗州의 왕규王逵
958 남한南漢의 유성劉晟
959 거란 정벌에 나서다
960 조광윤趙匡胤의 종군
961 세종世宗이 죽다
(1) 화살 앞에서도 눈 하나 깜박이지 않아
(2) 문무겸용

3. 恭帝
962 공제恭帝
963 진교역陳橋驛 사건

(十八) 宋
1. 太祖皇帝
964 태조황제太祖皇帝
(1) 향해아香孩兒
(2) 점검點檢이 천자가 되리라
(3) 천명을 타고났으니
965 택주澤州와 노주潞州를 평정하다
966 회남淮南을 평정하다
967 형남荊南의 고보융高寶融
968 남당南唐의 유종효留從效
969 남당南唐의 군주 이경李景
970 죽은 사람에게 살을 붙여 주듯
(1) 누가 이 어려운 황제의 일을 하려 하겠는가?
(2) 그대들에게 황포黃袍를 입혀준다면
971 조보趙普
972 여진女眞
973 회골과 우전
974 천주泉州의 유종효留從效
975 서평왕西平王 이이흥李彛興
976 주보권周保權
977 형남荊南의 고보욱高寶?
978 고려高麗
979 형남荊南과 호남湖南이 평정되다
980 조보趙普를 동평장사同平章事로 삼다
981 대대로 항복문서만 쓰는 이씨 집안
982 재상宰相은 모름지기 학자를 등용해야
983 나는 그러한 태평성세를 누리지 못하고 죽으리라
984 하주夏州의 이광예李光叡
985 북한北漢의 유계원劉繼元
986 솥과 냄비에도 귀가 있다
987 북한北漢 정벌에 나섰으나
988 그대가 죽기 전에는 북벌北伐하지 않겠다
(1) 큰 눈 내린 밤
(2) 조상의 제사를 받들기 위함이오
989 거란의 목종穆宗
990 남한南漢의 멸망
991 교지交趾
992 재상 조보趙普의 고집
(1) 찢어진 서류
(2) 집무실의 항아리
993 남당南唐 정벌
(1) 이 칼로 베시오
(2) 강을 측량하다
994 남당南唐의 최후
(1) 공격을 늦추어주시오
(2) 남당南唐의 멸망
995 이 보자기를 몰래 풀어보시오
996 선조宣祖의 능을 참배하다
997 천자를 보게 되다니
998 국운이란 덕에 달려 있는 법
999 송 태조의 치적
(1) 가혹한 정치는 용납하지 않으리라
(2) 누구나 들여다볼 수 있게 하라
(3) 등문고登聞鼓
(4) 법이 지나치게 조밀하다
(5) 무덕武德이 없는 장수
(6) 품속에 미리 준비한 글
(7) 제도 확립
(8) 천하의 도서를 수집하다

2. 太宗皇帝
1000 태종황제太宗皇帝
(1) 표략질을 막다
(2) 태후의 유언
(3) 쑥뜸으로 동생의 고통을 함께 하다
(4) 그를 너의 재상으로 쓰려무나
(5) 창문에 비친 형제의 그림자
(6) 아무 염려 마십시오
1001 관리의 등급을 매기다
1002 뇌물 받은 자는 관리가 될 수 없다
1003 청망관淸望官
1004 진홍진陳洪進
1005 오월왕吳越王 전숙이 투항하다
1006 북한北漢이 항복하다
1007 거란 정벌에 생긴 일
(1) 황제를 못 찾아 아우를 세우려 하다
(2) 오류는 한 번으로 족합니다
1008 학자 충방
1009 나를 비방한 자의 이름은 알아서는 안 된다
1010 희이선생希夷先生 진단
1011 백성의 고혈을 발라놓은 탑
1012 서하西夏의 침입
1013 거란의 경제景帝
1014 여진女眞이 거란에 복종하다
1015 형제를 서로 싸우게 하다
1016 촉蜀의 반란과 평정
1017 교지군왕交趾郡王
1018 아우라고 눈감아 주셨으니
1019 태종太宗의 치적
(1) 태종의 죽음
(2) ≪논어論語≫로서 천하를 잡고 천하를 다스렸습니다
(3) 수첩에 적인 인물 명단
(4) 큰일에는 흐리멍덩하지 않습니다

3. 眞宗皇帝
1020 진종황제眞宗皇帝
1021 거란의 침입
1022 왕균王均의 반란
1023 강보예康保裔의 전사
1024 서하西夏가 변경을 괴롭히다
1025 양육랑楊六郞
1026 거란과의 전투
(1) 가부만 판단하시오
(2) 성하城下의 맹약
(3) 삼괴당三槐堂
(4) 봉선封禪이 무슨 효과가 있겠습니까?
1027 진종眞宗이 죽다
(1) ≪논어論語≫의 큰 뜻
(2) 수염이나 털어주는 직책이오?
(3) 눈이 멀어 궁중의 일을 몰라

4. 仁宗皇帝
1028 인종황제仁宗皇帝
(1) 아이의 울음을 그치게 하라
(2) 황제의 능을 옮기려
(3) 눈에 박힌 못
(4) 잘 먹고 살려고 과거 본 것이 아니오
1029 교지交趾의 내분과 안정
1030 거란의 성종聖宗
1031 서하西夏의 조원호趙元昊
1032 재상 여이간呂夷簡
(1) 황제 생모의 장례식
(2) 사현일불초四賢一不肖
1033 서하西夏 경략과 거란의 계속된 침입
(1) 서하의 대하황제大夏皇帝
(2) 조정이 요양하는 곳입니까?
(3) 거란에 조공하기로 하다
1034 비판의 글들
(1) 석개石介의 시
(2) 구양수歐陽脩의 <붕당론朋黨論>
1035 범중엄范仲淹
(1) 열 가지 대책
(2) 일망타진一網打盡
1036 문언박文彦博
1037 하국왕夏國王 조원호趙元昊
1038 진집중陳執中
1039 하송을 파면하다
1040 등롱금燈籠錦을 바쳐 재상이 되었습니다
1041 농지고를 토벌하다
1042 방적龐籍
1043 부필富弼 밖에 없겠군
1044 거란의 흥종興宗
1045 교지의 이덕정李德政
1046 한기韓琦
1047 <변간론辨姦論>
1048 사마광司馬光의 삼차三箚
1049 소식蘇軾과 소철蘇轍
1050 증공량曾公亮
1051 인종仁宗이 죽다

5. 英宗皇帝
1052 영종황제英宗皇帝
(1) 세 번 사양한 끝에 제위에 오르다
(2) 너의 죄는 사형에 해당한다
1053 생부를 어떻게 모실 것인가?
1054 거란이 국호를 대료大遼로 고치다
1055 영종英宗이 죽다

6. 神宗皇帝
1056 신종황제神宗皇帝
1057 생부 복왕에 대한 논의 이래로
1058 왕안석王安石이 요순堯舜을 들먹이다
1059 왕안석王安石과 신법新法
(1) 태간사충太姦似忠
(2) 신법 발의
(3) 두견새 울음소리
(4) 옛 성현들에게는 읽을 책이 없었다
1060 농전수리農田水利
1061 의창義倉을 폐지하다
1062 균수법均輸法
1063 신법을 비판하다
1064 신법 비판이 거세지다
1065 청묘법靑苗法
1066 부필富弼과 왕안석
1067 예매법預買法
1068 조변
1069 신종神宗이 친히 과거 시험을 관장하다
1070 손각孫覺과 정호程顥가 신법을 비판하다
1071 여공저呂公著와 장전이 신법을 비판하다
1072 사두詞頭를 격정하다
1073 사경온謝景溫
1074 소식蘇軾의 만언서萬言書
1075 아첨해서라도 좋은 관직을 얻겠다
1076 증공량曾公亮이 파면되다
1077 신법 비난으로 보복을 당하다
1078 범진范鎭이 신법을 반대했다가 파면되다
1079 한강韓絳과 왕안석
1080 보갑법保甲法
1081 증포曾布
1082 과거법科擧法을 고치다
1083 사마광司馬光
(1) 삼부족三不足
(2) 저의 재능이 가장 낮습니다
1084 구양수歐陽脩가 사직을 청하다
1085 부필富弼이 좌천되다
1086 양회楊繪와 유지劉摯의 신법을 비난
1087 차역법差役法과 모역법募役法
1088 태학삼사법大學三舍法
1089 시역법市易法
1090 보마법保馬法
1091 방전균세법方田均稅法
1092 변방의 경계 표지
1093 시신이 떠올라 강물을 덮다
1094 경의국經義局
1095 신법으로 인한 혼란과 고통
(1) 굶어죽는 백성들을 그림으로 그려 바치다
(2) 신법 때문입니다
(3) 천자가 알지 못하도록 하라
1096 호마법戶馬法
1097 판관判官 한기韓琦
1098 하동河東 땅 7백 리를 요遼에게 주다
1099 신법의 폐해
(1) 그릇된 신법
(2) 중국을 구제하러 왔노라
(3) 죽은 자가 열에 여섯
1100 소식蘇軾의 시화詩禍
1101 오충吳充
1102 제도 개선
(1) 제도 개선과 새로운 임명
(2) 삼지재상三旨宰相
1103 부필富弼의 유언
1104 사마광과 ≪자치통감資治通鑑≫
(1) ≪자치통감資治通鑑≫이 완성되다
(2) 신종神宗이 죽다 변간론辨姦論> 붕당론朋黨論>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