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RDS를 활용한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또는 노동운동 상생인가 공멸인가
최고관리자
2023-12-29 16:19
1,130
0
본문
MSRDS를 활용한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도서명 : MSRDS를 활용한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저자/출판사 : 홍성용,김영준, 내하출판사
쪽수 : 430쪽
출판일 : 2009-11-10
ISBN : 9788957172551
정가 : 25000
[PARTⅠ:시작하기]
01. MSRDS 및 SPL 개요
1.1 MSRDS 소개1.2 SPL 소개
02.? 로보틱스 실습 환경 구성하기
2.1 MSRDS 2008 R2 설치2.2 SPLX Setup 설치2.3 SPL 서비스 및 샘 팩 설치2.4 SPL 한글 언어 팩 설치
03. 시뮬레이션 시작하기
3.1 기본 시뮬레이션 예제 실행3.2 SPL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구동3.3 VPL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구동
04. 로봇 주행 제어하기
4.1 SPL을 통한 2축 모터플랫폼 로봇 추가하기4.2 로봇의 수동 조종4.3 모터의 파워 값 제어를 통한 주행 제어4.4 일정 거리 주행시키기4.5 일정 각도 회전하기4.6 VPL에서 로봇 주행 제어하기
05. 범퍼 센서 제어하기
5.1 SPL을 통한 범퍼 센서 추가하기5.2 VPL을 통한 범퍼 센서 감지하기5.3 범퍼 센서를 통한 주행 제어
06. 레이저 거리 센서(LRF) 제어하기
6.1 LRF 센서6.2 SPL을 통한 레이저 거리 센서 추가하기6.3 VPL을 통한 레이저 센서(LRF) 감지하기6.4 LRF 센서를 통한 전방 장애물 감지 및 주행 제어6.5 LRF 센서를 통한 좌측 방향 장애물 감지 조건 추가6.6 If 분기와 If 조건 별로 로봇을 다르게 제어하기
07. SPL의 프로시저 기능을 이용한 제어 명령 모듈화 하기
7.1 SPL 프로시저 정의 방법7.2 프로시저의 순차 실행 및 병렬 실행7.3 프로시저 내에서의 실행지연 기능(Delay 명령어)7.4 프로시저 재귀호출을 통한 명령어 반복 실행7.5 프로시저에 파라메터 추가하기
08. VPL에서 SPL 프로시저 호출하기
8.1 VPL에서 SPL 프로시저를 호출하기 위한 기본 준비8.2 VPL에서 SPL 명령어 호출하기8.3 VPL에서 파라메터를 가지는 SPL 프로시저 호출하기?
[PARTⅡ:시뮬레이션 사물 다루어 보기]
09. 시뮬레이션 사물 추가
9.1 SPL을 통한 박스 모양의 시뮬레이션 사물 추가9.2 구와 캡슐 모양의 시뮬레이션 사물 추가9.3 하나의 엔터티에 여러 모양 추가하기9.4 엔터티의 색상과 텍스쳐 지정하기
10. 3D 모델링 파일로부터 모양(Shape) 추가하기
10.1 엔터티에 3D 모델링 외형 추가하기10.2 3D 모델링 파일로부터 모양을 추가하기
11.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시뮬레이션 사물 추가하기
11.1 엔터티의 무게를 0으로 지정하여 위치 고정시키기11.2 TriangleMesh를 이용하여 위치 고정시키기11.3 엔터티의 위치고정 옵션을 true로 설정하여 위치 고정시키기
[PARTⅢ:미션 수행하기]
12. 장애물 설계 및 기본 센서 활용하기
12.1 전방 장애물 추가하기 미션12.2 전방과 후방 범퍼를 활용하여 로봇을 전후로 주행시키기12.3 범퍼 센서를 활용하여 사각 장애물 공간에서 장애물 따라 주행시키기12.4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장애물 공간 주행하기
13. 미로 찾기 환경 구성
13.1 SPL을 통한 미로 생성13.2 SPL을 통한 미로 환경 실행13.3 미로 환경에 로봇 추가하기13.4 로봇에 추적 카메라 추가하기13.5 로봇 주행에 필요한 프로시저 추가하기
14. 미로 찾기 미션 수행
14.1 미로 탈출 전략14.2 VPL에 로직 추가하기
Appendix. 로봇은 시간과 함께 진화한다
Index
노동운동 상생인가 공멸인가
도서명 : 노동운동 상생인가 공멸인가
저자/출판사 : 김대환,최영기,윤기설, 위즈덤하우스
쪽수 : 310쪽
출판일 : 2010-01-29
ISBN : 9788960862340
정가 : 15000
1부 한국 노동운동 어디로 가야 하나?
1. 방향성 잃은 노동운동
노동운동의 위기 어디서 오나?
노조는 호박에 박힌 화석
이전 정부서 시장 중시?
노동운동 & 민주화운동
2. 노동운동, 왜 과격해졌나?
보상심리 작동으로 대정부 투쟁 강경
계파분열이 이념화·정치화 부채질
대기업 정규직, ‘그들만의 노동운동’
대처 식 개혁은 우리 풍토에 안 맞아
불법 행위에 대한 관용은 직무유기
3. 노동운동과 포퓰리즘
좌파·우파는 없고 잡파만 무성
이념적 혼돈은 지식인의 책임
좌파와 우파가 싸우는 이유
노조 간부의 리더십 실종
계파갈등이 리더십의 발목 잡아
좌파 정당의 분열과 민주노총의 정파갈등
분당은 세력 다툼의 산물
4. 정치노총 vs 실리노총
정부에 손 벌리는 노동단체
노조 비리와 회계의 불투명
제3노총 설립될까?
양 노총의 변화를 촉구하는 촉매제
5. 산별노조, 선인가 악인가?
노조의 전투력 높이는 산별체제
2중, 3중 교섭은 사용자 외면
혼란만 부채질하는 산별체제
우리 몸에 맞는 효율적인 교섭체계는?
6. 복수노조와 전임자 임금
전임자 임금, 노조 재정서 충당해야
타임오프제, 노사갈등 소지가 다분해
노조 조직률은 왜 하락하나?
조직률 하락은 세계적인 추세
무노조도 경영전략의 일환
7. 노동운동의 본질은 무엇인가?
계급투쟁론은 비현실적 관점
근로계약법이 필요한 시대
대기업 노조의 이기주의
노조는 민주화의 최대 수혜자
과도한 정치성향은 시대착오적
정책연대냐, 정치연대냐
8. 노조의 사회적 책무와 그 범위는?
회계 투명성이 노조 민주주의의 열쇠
노동운동과 사회적 압력의 당위
임금 자제도 사회적 책무인가?
2부 상생의 길을 찾아
9. 시장이냐, 정부냐?
우리는 지금 신자유주의 체제인가?
금융위기 이후의 경제 시스템은?
경제 질서가 바뀌면 노동시장은 스트레스
한국의 노동시장은 유연한가?
공기업·대기업 노동시장이 가장 경직
10. 노동 권력, 대체 얼마나 세길래
현장관리자 vs 노조대의원
선진국에선 회사가 작업통제권 장악
깨진 유리창과 현대차 울산공장
노조의 과다한 경영권 개입
선진국 노조, 경영 개입 제한적
노사단체에 리더십은 없나?
정부 눈치 보는 경총
사회적 대화 통해 재계 대표로 부상
11. 법과 원칙의 효용성
일관성 없는 노동행정
말로만 ‘법과 원칙’ 외칠 뿐
노사안정의 비결은 법과 원칙
외국서 불법 파업은 형사처벌의 대상
강성노조가 변한 까닭은?
12. 고용 없는 성장, 그 해법은?
좋은 일자리, 갈수록 감소
사라지는 평생직장
사회안전망-유연성-직업훈련
규제 풀어야 일자리가 창출된다
공공서비스의 임금 양극화
노동시장의 양극화, 어떻게 풀어야 할까?
임금체계 개선이 그 해결책
13. 고용보험과 사회안전망
고용보험 낭비 심하지 않나?
고용안정센터에 대한 과잉투자 논란
잡 셰어링의 미래는?
환율 효과로 인해 금융위기 충격은 미미
근로시간이 줄면 성장동력은 하락
14. 비정규직 문제, 그 묘책은?
임금체계 바꾸면 해결된다는데…
특수고용직은 노동자인가, 사업주인가?
새 환경에 맞는 보호 대책이 필요
시장 친화적 현장훈련이 경쟁력
15. 사회적 대화 필요한가?
노조 권력 막강한데 대화 왜 하나?
양보 없인 사회적 파트너십 불가능
유연안전성과 사회적 합의
유연성은 고용시장의 윤활유
사회적 대화, 노동운동엔 원군
16. 노조 눈치 살피는 지식인들
노사민정 대타협에 대한 평가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은 대타협의 산물
상생이란 현실에 맞는 옷을 입는 것
상생은 비겁하다? 혹은 어용이다?
대담을 마치며 노동운동, 그 상생의 길을 모색하다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