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UP 다이어트 또는 지역정체성과 제도화
![profile_image](https://www.feedpost.co.kr/data/member_image/ad/admin.gif?1701586282)
최고관리자
2023-12-29 16:19
1,067
0
본문
엉덩이 UP 다이어트
![9788964940013.jpg](https://image.kdgmall.xyz/book_image_2022/9788964940013.jpg)
도서명 : 엉덩이 UP 다이어트
저자/출판사 : 사이토,미에코, 보누스
쪽수 : 139쪽
출판일 : 2010-05-17
ISBN : 9788964940013
정가 : 6500
프롤로그_ 10일 만에 완벽한 엉덩이를 만든다
[Warming Up] 힙업 미인을 만드는 10days plan
힙업 미인을 만드는 10일 완성 프로그램
아침부터 취침 전까지 시간대별 다이어트 포인트
엉덩이 다이어트의 원리
엉덩이 모양은 골반이 좌우한다 | 엉덩이 라인을 만드는 주요 근육
균형 잡힌 엉덩이를 만드는 셀프 체크
Check 1 엉덩이 사이즈 측정 방법 | Check 2 나의 엉덩이 유형 진단
[Step 1] 하체의 부기를 제거하는 기본 스트레칭
Day 1?2 Plan
대사 기능을 향상하는 스트레칭
골격의 균형을 바로잡는 기본 워킹
퉁퉁 부은 하체의 부기를 빼는 10초 포즈
혈액순환과 부기 제거에 좋은 스트레칭
비틀린 온몸을 바로잡는 교정 운동
[Step 2] 군살과 지방을 없애는 다이어트 스트레칭
Day 3?4 Plan
잠들어 있는 근육을 깨우는 스트레칭
셀룰라이트를 예방하는 근육 운동
몸속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 15초 포즈
지방이 붙지 않는 엉덩이를 만드는 운동
[Step 3] 벌어진 골반을 바로잡는 집중 교정 체조
Day 5?6 Plan
골반의 관절을 풀어주는 스트레칭
골반 상태를 바로잡는 10초 포즈
골반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힙워킹
벌어진 골반을 조이는 스트레칭
벌어진 골반을 조이는 5초 포즈
[Step 4] 볼륨 있는 엉덩이를 만드는 힙업 운동
Day 7?8 Plan
엉덩이 주변의 근육을 자극하는 스트레칭
엉덩이 근육을 조여주는 30초 힙업 포즈
처진 엉덩이를 예방하는 힙업 운동
엉덩이 근육을 올려주는 힙업 워킹
탄력 있는 엉덩이를 만드는 하체 강화 힙업 운동
[Step 5] S라인을 만드는 스트레칭과 워킹
Day 9?10 Plan
지방의 연소를 높이는 워킹
복부 지방을 연소시키는 5초 포즈
잘록한 허리를 만드는 스트레칭
매끈한 하체 라인을 만드는 워킹
허벅지의 군살과 지방을 빼는 스트레칭
엉덩이와 허벅지 라인을 다듬는 하체 운동
[Step 6] 완벽한 엉덩이를 지키는 힙업 관리 솔루션
Day 10+ Plan
근육을 활성화하는 10초 포즈
몸의 균형을 바로잡는 다리 근력 강화 운동
하체의 불필요한 지방을 없애는 스트레칭
몸 전체의 바디라인을 다듬는 백워킹
군살을 방지하는 하체 관리 운동
하루의 피로를 풀어주는 마무리 운동
[Plus Page]
내 몸을 사랑하는 생활 가이드
셀프 엉덩이 마사지 & 경혈법
지역정체성과 제도화
![9788946052154.jpg](https://image.kdgmall.xyz/book_image_2022/9788946052154.jpg)
도서명 : 지역정체성과 제도화
저자/출판사 : 임병조, 한울아카데미
쪽수 : 382쪽
출판일 : 2010-01-14
ISBN : 9788946052154
정가 : 29000
프롤로그
1. 왜 지역지리학인가?
2. 이 책의 구성
3. 지역지리학 연구대상으로서 내포(內浦)의 특징과 적합성
제1장 지역정체성의 구성과 제도화 과정
1. 지역개념의 변천
2. 지역개념의 다양성과 정체성개념의 도출
3. 포스트모던 개념으로서의 지역정체성
4. 지역정체성의 구성과 제도화 과정
제2장 영역적 형상 발달의 역사적 과정
1. 내포의 범위에 관한 인식의 변화
2. 행정구역의 변화
3. 내포지역권의 성립: 장시의 발달
4. 내포: 가야산 주변의 안개[內浦]
제3장 상징적 형상의 성립
1. 자연지리적 상징
2. 방언
3. 민요와 시조
4. 유교문화
5. 종교: 천주교
6. 문화권으로서의 내포
제4장 내포의 소멸
1. 행정구역의 변화
2. 교통수단의 변화
3. 지역구조의 변화
4. 내포의 소멸: 근대화시기의 사회적·경제적 변화
제5장 지역정체성의 형성과 지역의 부활
1. 내포 논의의 등장
2. 내포 논의의 주요 주체
3. 지역의 부활: 지역정체성의 재구성
4. 내포의 부활: 진행 중인 제도화 과정
제6장 결론: 지역정체성과 제도화
1. 영역적 형상의 발달
2. 상징적 형상의 성립
3. 제도의 출현과 지역정체성의 구성
4. 지역지리학의 발전을 위한 제언
댓글목록0
댓글 포인트 안내